기사 메일전송
  • 기사등록 2023-06-22 20:30:01
기사수정

[굿타임] = 이강부 기자 = 아산시가 최근 벼 주산지 주요 지역 병해충 예찰 결과 조기 이앙답과 하천변을 중심으로 벼잎벌레 유충의 개체수가 증가하고 있어 적기 방제가 요구된다.


벼 잎벌레는 년1회 발생하며 논둑이나 제방 잡초, 논 주변 야산, 겉흙 등에서 월동하며 월동 성충은 5월 하순부터 6월 하순까지 한장소에 무더기로 산란하며 유충이 7월 상순까지 발생해 벼잎에 피해를 주며 성충보다는 유충의 섭식량이 많아 피해가 더크며 이후 7월 하순부터는 다시 월동 장소로 이동해 월동한다. 

  

벼잎벌레는 벼잎위에서 아래로 잎표면의 엽육을 갉아 먹어 지나간 자리에 엽맥과 평행으로 백색 선모양의 파먹은 흔적이 생기며 잎뒷면의 표피만 남고 잎이 끝에서부터 갈라져 갈색으로 말라 죽는 피해를 안긴다. 


최근 논 주변 야산과 하천변을 중심으로 시전역에 걸쳐 벼잎벌레 피해가 확산하고 있으며 초기 방제에 소홀하면 분얼이 더디게 되며 심하면 수확기 수량 감소로 이어질수 있다. 


따라서 피해 증상이 있는 농가에서는 발생 초기 적기 방제를 철저히 하는 것이 중요하며 특히 벼잎벌레 유충은 배설물을 등에 지고 다니는 특성 때문에 조류 등의 배설물로 오인해 방제 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있어 세심한 관찰이 필요하다.


농업기술센터 병해충담당자는 “벼잎벌레는 약제에 대한 감수성이 높아 발생 초기 적용약제를 살포하면 쉽게 방제가 되는 해충이지만 예찰을 통해 밀도 증가시 반드시 방제해 초기생육이 더디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농업기술센터는 주요 벼 병해충에 대한 지속적인 정밀예찰과 현장 기술 지원을 하고 있으며 자세한 문의는 농업기술과 식량작물팀으로 하면 된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goodtime.or.kr/news/view.php?idx=57297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후원 X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