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Join
Update
2025.04.24
(목)
종합
정치
경제
사회
해외
교육
의료
생활
칼럼
지역
충남
대전
세종
천안
아산
서산
당진
보령
공주
논산
계룡
홍성
금산
부여
청양
서천
태안
예산
칼럼
칼럼
기고
인터뷰
기자수첩
동영상
동영상
포토뉴스
포토뉴스
문화
한국문화교류
고사성어
문화
관광
취미
차(茶)문화
커뮤니티
자유게시판
인권자료실
자료실
'18.6.13 지방선거
충남
대전
세종
천안
공주
보령
아산
서산
태안
금산
논산
계룡
당진
부여
서천
홍성
청양
예산
홈
문화
고사성어
구천십장(九遷十葬)
직역하면 아홉번 옮겨 열번째 장사지낸다는 뜻으로 조상의 무덤을 쓸 때 지나치게 욕심에 어두운 경우를 일컫는 구천십장(九遷十葬)은 대동기문(大東奇聞)에서 볼 수 있다. 조선 중기에 경북 울진 출...
2018-03-23
구인득인(求仁得仁)
인을 구해 인을 얻음을 뜻하며 자신이 원하는 것을 얻었음을 말하는 구인득인(求仁得仁)은 사기(史記)에서 볼 수 있다. 은(殷)나라의 고죽군(孤竹君)은 세상을 떠나면서 왕위를 형인 백이(伯夷)보다도...
2018-03-20
구우일모(九牛一毛)
아홉 마리의 소 가운데서 뽑은 한 개의 소 털이라는 뜻으로 많은 것 중에 가장 적은 것을 비유한 구우일모(九牛一毛)는 한서(漢書)의 보임안서(報任安書)와 문선(文選)의 사마천 보임소경서(司馬遷 保任少...
2018-03-19
교병필패(驕兵必敗)
강병을 자랑하는 군대나 싸움에 이기고 뽐내는 군사는 반드시 패한다는 뜻으로 교만(驕慢)하게 굴면서 상대(相對)를 얕보는 자는 반드시 패함을 비유한 교병필패(驕兵必敗)는 한서열전(漢書列傳) 위상전(...
2018-03-18
관맹상제(寬猛相濟)
너그러움과 엄격함이 조화를 이루어 치우침이 없이 원만하다는 뜻의 관맹상제(寬猛相濟)는 정치에 통용되는 말이다. 다시 말해 정치란 너그러움을 먼저 베풀고 다음에 엄격함을 뒤따르도록 해야 효과...
2018-03-17
곡굉지락(曲肱之樂)
팔을 베개 삼아 잠을 자는 속에 있는 즐거움이라는 뜻으로 가난에 만족해 그 속에서 즐거움을 찾는 간소한 생활을 비유한 곡굉지락(曲肱之樂)은 논어(論語) 술이편(述而篇)에서 볼 수 있다. 논어(論語...
2018-03-14
고침무우(高枕無憂)
높은 베개를 베고 근심 없이 지낸다는 뜻으로 아무런 근심 걱정이 없음을 비유한 고침무우(高枕無憂)는 전국책(戰國策) 제책(齊策)에서 볼 수 있다. 풍환(馮驩)은 춘추시대(春秋時代) 제(齊) 나라 맹...
2018-03-12
고복격양(鼓腹擊壤)
고복격양(鼓腹擊壤)은 배를 두드리고 발을 구르며 흥겨워 한다는 뜻으로 백성들이 태평세월을 누린다는 뜻으로 십팔사략(十八史略) 제요편(帝堯篇)과 악부시집(樂府詩集) 격양가(擊壤歌)와 사기(史記) 오...
2018-03-04
고목후주(枯木朽株)
쓰이지 못한 사람이나 물건(物件)을 비유한 고목후주(枯木朽株)는 사기(史記) 노중련(魯仲連) 추양열전(鄒陽列傳)에서 볼 수 있다. 서한(西漢) 경제(景帝) 유계(劉啓)가 재위하던 시절 추양(鄒陽)이라...
2018-02-28
경황실조(驚惶失措)
직역하면 놀라 허둥대며 어쩔 줄을 모른다는 뜻으로 황(惶) 대신 황(慌 어렴풋할 황)을 쓰기도 하며 북제서(北齊書) 원휘업전(元暉業傳)에서 볼 수 있다. 북제서(北齊書)는 수(隋)나라의 이백약(李百藥...
2018-02-27
겸청즉명(兼聽則明)
여러 방면의 의견(意見)을 들으면 옳고 그름이 밝혀진다는 뜻의 겸청즉명(兼聽則明)은 자치통감(資治通鑒) 당기(唐紀) 태종 정관(太宗 貞觀)에서 볼 수 있다. 당(唐)나라 태종(太宗)때 위징(魏徵)이라...
2018-02-26
겸애(兼愛)
모든 인간을 똑같이 사랑함을 지칭하는 겸애(兼愛)는 묵자(墨子) 겸애편(兼愛篇)과 맹자(孟子) 진심(盡心) 상편(上篇), 묵자(墨子) 천도편(天道篇)에서 볼 수 있다. 자기와 남을 구별하지 않고 모든 사...
2018-02-23
결초보은(結草報恩)
결초보은(結草報恩)을 직역하면 풀을 맺어 은혜에 보답 한다는 뜻으로 죽어서까지 라도 은혜를 잊지 않고 갚는다는 말로 죽어 혼령이 돼도 은혜를 잊지 않고 갚음을 의미하는 결초보은(結草報恩)은 춘추...
2018-02-22
격죽사난사(擊竹事難事)
대나무를 다 사용해 써도 그의 악행을 다 쓸 수 없다는 뜻으로 필설(筆舌)로 다 할 수 없으리만큼 죄악을 저질렀다는 격죽사난사(擊竹事難事)는 후한서(後漢書) 왕망전(王莽傳)에서 볼 수 있다. 전한(...
2018-02-21
검수(黔首)
백성을 뜻하는 말인 검수(黔首)는 사기(史記)와 서경(書經)에서 볼 수 있다. 옛날 중국에서는 일반 서민은 보통 관(冠)을 쓰지 않고 검은 맨머리를 드러내고 다닌 데서 연유해 생긴 말이다. 검려(...
2018-02-20
거족경중(擧足輕重)
다리 하나를 들어 어느 쪽에 두는 가에 따라 무게 중심이 이동(移動)돼 세력의 우열이 결정된다는 뜻의 거족경중(擧足輕重)은 후한서(後漢書) 두융전(竇融傳)에서 볼 수 있다. 한신(韓信)이 한창 한(漢...
2018-02-19
개관사정(蓋棺事定)
직역하면 관 뚜껑을 덮고 난 뒤에야 안다는 뜻으로 사람은 죽고 난 뒤에야 올바르고 정당한 평가를 할 수 있다는 말로 두보(杜甫)의 시(詩) 군부견간소혜(君不見簡蘇惠)에서 볼 수 있다. 이 시는 두보...
2018-02-18
강퍅자용(剛愎自用)
자만(自慢)해 자신의 의견만을 고집(固執)함을 뜻하는 강퍅자용(剛愎自用)은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 선공(宣公) 12년에서 볼 수 있다. 진(晉) 나라와 초(楚) 나라가 패권을 다투고 있던 때 두 나라의 ...
2018-02-16
손자병법 제36계 주위상(走为上) 때로는 작전상후퇴도 필요하다.
손자병법 제36계 주위상(走为上) 때로는 작전상후퇴도 필요하다. 때로 후퇴도 필요하다는 제36계 중 마지막 계책으로 계획적으로 후퇴하여 후퇴를 진격으로 삼고 기회를 노려 적을 섬멸한다는 뜻이...
2018-02-10
손자병법 제35계 연환계(连环计) 여러 가지 계책을 연격시키다.
손자병법 제35계 연환계(连环计) 여러 가지 계책을 연격시키다. 연환계는 제35계로 여러 계책을 연결하여 병용한다는 뜻이다. 손빈은 조정의 내란을 제거하기 위해 먼저 추상국과 공손열을 이...
2018-02-10
1
2
3
맨끝
많이 본 뉴스
게시물이 없습니다.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